본문 바로가기
투자정보

포스코홀딩스 실적과 지표 분석 전망까지 알아보자

by 매일스쿱 2025. 4. 14.

포스코홀딩스 관련 사진

 

최근 복잡하게 얽힌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철강 산업은 예측 불허의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특히 미중 무역 갈등의 여파는 철강 업계 전반에 걸쳐 불안감을 드리우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을 키우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포스코홀딩스는 전통적인 철강 제조를 넘어 2차 전지 소재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선 포스코홀딩스의 주가 전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철강 시장 전반의 흐름과 투자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1. 포스코홀딩스 실적

✅ 1분기 실적

 

2025년 1분기, 시장에서는 포스코홀딩스의 매출액을 약 17.7조 원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2%, 전 분기 대비  0.8% 감소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4,43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9% 감소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365.2%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장 컨센서스인 5,907억 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일부 증권사에서는 매출 18.17조 원, 영업이익 5,450억 원으로 더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 실적에 영향을 준 요인

 

1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친 주요 변수는 연휴로 인한 조업 일수 감소입니다. 이로 인해 제품 판매량은 약 823만 톤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전 분기 대비 2.8% 감소한 수치입니다. 해외 자회사들의 경우 동남아 지역 판매 단가 하락으로 인해 소폭 실적 부진을 겪을 것으로 보이며, 2차 전지 소재 부문은 아직 적자 상태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에만 매몰될 필요는 없습니다. 1분기는 전통적으로 철강 업계의 비수기로 여겨지며, 연휴 등의 일시적인 요인이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1분기 실적보다는 2분기 이후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 2분기 기대 요인

 

2분기에는 포스코홀딩스의 주력 제품 판매량이 843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년 대비 7.3%, 전 분기 대비 2.5%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탄소강 평균 판매 단가(ASP)가 열연과 후판 중심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는 중국 정부의 철강 감산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국 정부가 철강 생산량 감축을 공식적으로 언급하면서 글로벌 공급 과잉 우려가 완화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판매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치가 국내 시장에서 경쟁 압력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핵심 지표 분석

2025년 4월 4일 기준,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27만 3,000원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22조 5,560억 원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29.26%입니다. 52주 최고가는 40만 7,000원, 최저가는 23만 500원으로 주가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 실적 전망

 

향후 실적 전망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2025년 73.23조 원, 2026년 76.66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업이익은 2025년 2.83조 원, 2026년 3.65조 원으로 증가하며, 순이익 또한 2025년 1.77조 원, 2026년 2.35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당 순이익(EPS)은 2025년 19,485원, 2026년 25,773원으로 예상됩니다.

 

PER(주가 수익 비율)은 2025년 20.93배, 2026년 13.64배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PBR(주가 순자산 비율)은 0.39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V/EBITDA(기업 가치/상각 전 영업 이익)는 2025년 6.18배, 2026년 5.80배로 추정되며, ROE(자기 자본 이익률)는 2025년 1.91%에서 2026년 2.89%로 개선될 전망입니다. 주당 순자산(BPS)은 약 70만 7,532원에서 71만 8,415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포스코홀딩스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높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수익성 개선과 재무 건전성 강화는 주가 상승의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스프레드(Spread)

‘스프레드(Spread)’는 제품 판매 가격과 원자재 비용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제조사의 수익성이 개선되는데, 2분기에는 판매량 증가와 판매 단가 상승에 힘입어 스프레드가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포스코홀딩스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위기 속 기회 전망 분석

최근 중국 국가 발전 개혁 위원회(NDRC)가 철강 생산량 감축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중국의 수출 물량 감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철강 시장의 공급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주목할 부분

하지만 미국 열연 강판 가격이 단기간에 급등한 후 하락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수요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가격 하락은 불가피하며, 이는 포스코홀딩스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차 전지 소재 사업은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하반기 이후 포스코 필바라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면 원가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가치를 판단해야

 

포스코홀딩스는 전통적인 철강 기업에서 벗어나 2차 전지 소재, 리튬 등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상황, 금리, 환율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스코홀딩스는 글로벌 공급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중국 수출 감축 이슈와 수요 회복 여부에 따라 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으며, 2분기 판매량 증가와 스프레드 개선은 수익성 회복의 신호탄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스코홀딩스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단기적인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개인 투자자라면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Disclaimer: 본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니며,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